-
공공정책 성공 사례: 고용노동부 AI 어시스턴트를 통한 상담 서비스 혁신공공정책 2025. 8. 10. 15:05
최근 디지털 혁신과 함께 일상 곳곳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이 접목되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역시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AI 어시스턴트’를 기반으로 한 상담 서비스 혁신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민 누구나 보다 쉽고 빠르게 고용 정보와 직업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이 서비스는 공공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AI 어시스턴트
24시간 상담을 가능하게 한 고용노동부 AI 챗봇
고용노동부는 AI 상담 챗봇과 일자리 매칭 시스템 등 다양한 형태로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고객상담센터 챗봇 서비스는 365일 24시간 실업급여, 고용센터 안내 등 궁금한 사항을 실시간으로 답변해 주기 때문에 언제든지 편리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과 같은 친숙한 플랫폼을 통해 접근성이 매우 뛰어나며, 복잡한 행정문의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신청부터 직업정보 탐색까지, AI 챗봇은 국민의 다양한 요구를 신속하게 응대하며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AI 일자리 매칭 ‘잡케어 서비스’의 성과
더불어, 고용노동부의 ‘AI 일자리 매칭, 잡케어 서비스’는 구직자가 직접 이력서를 입력하면 AI가 빅데이터 기반으로 개인에게 맞는 일자리를 찾아 추천해 줍니다. 실제로 2025년 상반기에만 87,212건의 성공적인 취업이 이루어졌으며, 진로 탐색·경력 설계 등 다양한 맞춤형 상담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맞춤형 AI 서비스는 기존에 복잡하게만 느껴졌던 취업 지원 프로세스를 한층 더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바꿔주고 있습니다.상담 품질과 효율성을 높인 AI 어시스턴트
실무 현장에서의 효과도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상담사가 방대한 매뉴얼을 일일이 검색해야 해 시간이 오래 걸렸지만, AI 어시스턴트가 도입되면서 질의어 분석과 예측 답변을 통해 자료 검색 시간이 크게 단축되었습니다. 신규 상담원도 AI의 도움으로 빠르게 숙련도를 쌓고, 상담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습니다. 실제로 상담 처리 시간은 1일 평균 42분 단축되고, 전체 상담 처리 건수 역시 10% 향상되는 등 생산성 지표가 개선되었습니다. AI가 기존 인력 부족 문제도 효과적으로 보완하며, 다양한 고용 정책을 실현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미래를 준비하는 AI 기반 직업상담 서비스
직업상담 분야에서도 생성형 인공지능의 도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진로 프로그램 기획, 상담일지 작성, 자기소개서 분석, 구인정보 탐색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가 적용되어 직업상담사의 업무 효율성 향상과 국민 고용서비스의 질적 제고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AI와 함께 직업상담사가 갖추어야 할 새로운 역량(인공지능 문해력, 비판적 사고, 논리력 등)도 중요해졌으며, 이에 맞춰 정부는 AI 기반 상담 서비스와 직업상담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 중입니다. 앞으로 더욱 발전된 AI 어시스턴트가 국민 개개인의 다양한 진로와 취업 고민을 해결하는 든든한 조력자가 될 것입니다.'공공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정책 성공 사례: 청년 정책 성공사례로 본 정부의 일자리 해법 (1) 2025.07.31 공공정책 성공 사례: 스마트 행정 성공사례, 디지털로 바뀐 민원 처리 (0) 2025.07.30 공공정책 성공 사례: 국내 도시재생편 (1) 2025.07.29 공공정책 성공 사례: 탄소중립을 향한 실제 변화(환경정책 편) (0) 2025.07.28 공공정책 성공 사례: 국민 삶을 바꾼 정책들 (사회복지 편) (1) 2025.07.27